주요연구결과

  • Author iLED
  • Date 16-02-01 17:37
  • Views 547
  • 스마트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예비교사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스마트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예비교사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iLED
    댓글 0건 조회 547회 작성일 16-02-01 17:37

    본문

    최근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이 스마트 교육을 포함한 웹 3.0으로 변모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교육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의 교육환경은 교육 내용, 방식, 환경, 과정 측면에도 혁신적으로 나아가고 있음에 따라 스마트 교육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향후 학교 교육을 운영할 예비교사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나타낸다. 서울대학교 부설학교 진흥본부는 선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원의 역량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사범대학 부설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수준에서 발전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의 교육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본 연구팀은 실질적인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해 교수 설계 전략 및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성과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사범대학과 부설학교 현장 교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중심으로 보다 현실성을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수설계 차원에서의 체계적 접근을 반영하기 위해 형성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수 설계 전략 및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 설계 전략은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주요 설계 전략들을 확인한 후, 이를 종합 및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교육 운영을 위한 기존 교수 자원 활용’, ‘스마트 교육 핵심 내용 제공’, ‘교실 내 스마트 도구의 통합적 활용 방안 제공’, ‘효과적인 스마트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 기회 제공’,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 활용’, ‘체계적인 마이크로 티칭 실시’, ‘학교 현장에서의 실제 스마트 교육 수업 실행 기회 제공’, ‘학교 현장과의 연계를 통한 실제성 향상’ 총 9가지의 일반설계 전략과 이에 대한 33개의 상세지침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교육 프로그램 모형에는 설계 전략을 포함하여 크게 두 가지 축으로서 ‘수행 및 참가 주체’, ‘운영 단계’에 따라 어떻게 실제로 구현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내었다. 수행 및 참가 주체로서는 예비교사, 교육공학 및 교과교육 교수, 현장 교사, 기제역할로서의 온라인 지원 시스템이 포함된다. 이를 운영 단계에 따라 스마트 교육 통합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마이크로 티칭, 학교 현장 수업 실행’에 따라 구분하여 세부적인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설계 전략 및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수업에 적용 및 운영한 뒤,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와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성의 측면에서의 주요 사항으로는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교육 통합 활용에 대한 마이크로 티칭 및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 실행이 예비교사가 실제 스마트 교육을 운영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 교육 전반의 이론에서 부터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행 단계 및 피드백에 이르기까지 본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있어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촉진 및 지원하는 기제가 되었으며, 자료 탐색의 용이성을 제공하였다. 셋째, 현장 교사 및 교육공학, 교과교육 교수자의 전문가 지원 및 피드백, 그리고 동료 피드백이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도출된 주요 개선점으로 학교 현장 수업 실행에 대한 교과목 및 단원의 사전 결정이 필요함을 제시되었다. 또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측면에서 프로그램 오류 개선 및 안정화 작업, 자료 정렬 기능 및 인터페이스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도출된 주요 개선점을 고려하여 수정 및 보완하여 최적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과제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부설학교 발전 및 실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교육실습 교과목에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적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과제를 수행하여 도출된 결과는 시범 모형의 성격으로 이를 보다 최적화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 실행이 이루어지는 교생 실습 교과목과 연계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부설학교의 개선을 위해서 대학 교육과의 연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예비교사 교육을 함에 있어 마이크로 티칭과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 실행을 중심으로 예비교사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의 핵심 역량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학교 교육을 책임지는 운영 주체로서 예비교사는 학교교육의 질 향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 따라 예비교사가 지녀야 할 주요 역량을 도출하고 각각의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모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임철일 외 (2016). 스마트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예비교사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학교 진흥본부.pdf